본문바로가기

마을공동체

여수 마을공동체를 소개합니다.

지원사업
(전라남도)

지원사업
  • 주민이 참여하고 주관하는 마을공동체 육성
    • 마을 주민들이 함께 수립한 마을발전종합계획에 따라 공동체를 형성하고, 행정은 주민 요구사항에 대해 자원방안 마련
  • 주민 주도의 공동체 사업을 이끌고 갈 인력 양성
    • 마을활동가(퍼실리데이터, Facilitator)양성 교육
  • 공모를 통해 시군당 1명 시상 매년 50명 선발
  • 수료자는 5~10개 마을을 담당하면서 공동체 형성, 주민 역량교육, 마을 자원조사, 마을 과제 만들기 등 활동 수행
    • 마을리더 양성 아카데미 운영
  • 시군 추천을 받아 마을리더를 원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매년 200명씩 교육
  • 수료자는 마을 주민들과 협의하여 마을 특성에 맞는 공동체사업 시행 및 마을발전종합계획 수립

    ※ 우수 마을리더는 다음 해 마을활동가 양성 교육에 참여 마을활동가로 양성

    • 기존 이력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
  • 중앙 및 도자체 마을 관련 사업에 선정되었던 마을을 대상으로 재교육
  • 공동체 유형별로 우수마을을 선정, 현장교육 병행
공동체사업 공모유형별 세부내용
공동체 활성화
  • 마을형
    • 공동육아, 부모교육, 돌봄, 마을공동밥상 등
    • 기후위기 대응, 세대융합형 돌봄, 생태문화마을, 청년 공동체, 마을내(간) 네트워크 활성화 등

    ※ 5인 이상 주민모임 및 단체

  • 아파트형
    • 갈등해결, 노동인권, 녹색환경, 돌봄, 이웃돕기/사회봉사 등
    • 공동육아, 돌봄, 축제, 밥상 모임 등

    ※ 5인 이상 주민모임 및 단체

  • 행복한마을 리빙랩
    • 불법주차, 안전한 골목길, 쓰레기 문제 등 해결, 노인 및 아동 돌봄서비스, 낙후된 농촌개발 등

    ※ 10인 이상 주민모임 (마을기반주관단체, 마을주민 연계단체 2개 이상)

공기빛깔

공동체사업은 ‘씨앗 새싹 열매’단계로 구분 지원

씨앗단계 (형성)
  • 공동체 활성화, 씨앗단계 연장을 원하는 공동체(마을형/아파트형으로 구분)
  • 기후위기 대응, 생태문화마을, 지역주민 안전, 치안강화활동, 마을내·외간 네트워크 활성화, 마을이야기 지도·마을영상·마을미디어 제작, 마을축제 등
  • 갈등해결, 노동인권, 녹색환경, 이웃돕기/사회봉사, 학습동아리
  • 지원한도액(개소당) : 5백만원 이내
새싹단계 (활성화)
  • 공동체 활성화, 씨앗단계 완료한 공동체
  • 마을계획 수립, 마을총회, 마을비전, 마을영상, 주민 워크숍 등
  • 지원한도액(개소당) : 10백만원 이내(자부담 보조금 5%이내)
열매단계 (자립화)
  • 새싹단계 완료한 공동체
  • 마을 테마사업(특성화사업)발굴, 브랜드 구상, 브랜드 활용 및 제작, 활동공간 조성 등
  • 지원한도액(개소당) : 20백만원 이내(자부담 보조금 5%이내)(사업비12백만원이내,공간개선비8백만원이내)
지원가능한 마을공동체 활동
  • 기후위기 대응, 생태문화마을, 마을내/간 네트워크 활동, 마을미디어 활동 등
  • 갈등해결, 노동인권, 녹색환경, 이웃돕기, 사회봉사, 마을축제 등
  • 불법주차, 안전한 골목길, 쓰레기 문제해결, 낙후된 지역개발 등
  • 기타 주민 화합과 역량강화, 공동체 회복, 활성화를 위한 활동 등

※꽃 나무 심기, 벽화그리기 등 환경개선, 경관 조성 활동 및 돌봄 관련 활동은 지원제외 (청정전남 으뜸마을, 행복드림 돌봄공동체 중복)

추진절차
마을공동체 형성 추진단계
  • '나'의
    일상에 대한 욕구가
    콘텐츠 분석
  • 이웃과 공유하여
    공동체를 형성하고
    교류
  • 민민, 민관 등
    네트워크를 통합 협치로
    협치
  •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
    마음이 되도록!
    자치
마을공동체 형성 추진단계
마을공동체 형성 추진단계
1단계 : 공동체 형성
  • 마을 주민이 모여 마을에 필요한 것과 마을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함께 고민
2단계 : 공동체 학습
  • 워크숍을 통해 마을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함께 찾고, 해결 방법 모색
  • 마을활동가(전문가) 참여, 주민 역량교육 병행 실시
3단계 : 현장 학습
  • 우리 마을과 비슷한 고민을 해결한 마을을 견학하여 우수사례 벤치마킹
  • 마을공동체 지원센터에서 대상 마을 소개
4단계 : 마을자원 조사
  • 마을 만들기에 접목할 수 있는 꺼리를 찾기 위해 마을에 어떠한 자원들이 있는지 조사
  • 마을 활동가(전문가)참여
5단계 : 마을계획 수립
  • 마을의 더 좋은 비전을 수립하기 위한 마을계획 수립
  • 마을활동가(전문가) 참여
6단계 : 단체 설립
  • 마을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고, 보조금 집행의 편의 도모
  • 고유번호증 또는 사업자등록증 발급
7단계 : 사업 시작
  • 마을계획에 의한 사업 시작
  • 마을공동체 지원센터 모니터링 실시

* 출처: 전라남도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, 광주다운마을공동체 표준교안 기본편